티스토리 뷰
B조 학생들은 야외 답사 단계에서 지시적 제스처의 빈도가 가장 높긴 했으나 그 이외의 형 상적 제스처와 묘사적 제스처,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제스처를 모두 사 용하기도 한 것으로부터 다양한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였다. - 141 - 4) 한탄강 형성과정에 대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B조 학생들은 한탄강 야외지질답사를 종료하고 다음 시간에 교실 환 경에서 관찰한 것을 증거로 활용하여 개인 모델에서부터 최종 조별 모델 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하였다. 학생들 스스로 조별 모델을 만든 이후에 각자 자신의 개인 모델을 발표하는 것으로부터 조별 모델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가) 지시적 제스처 1 2 3 4 #152, (44´ 55˝ ∼ 45´ 02˝). 여1 : 여기(1) 이 시기(2)가 맞는지 모르겠는데 여기 화산 폭발(3)이 있었고... 남1 : 규암이랑 석회암이랑... 여1 : 거기에 대폭발이 한 번 더 있었고(4)... 개인 모델 작성한 것을 서로 교환하며 보는 중에 여1 학생이 작성한 활동지를 남1 학생에게 설명할 때 볼 수 있는 지시적 제스처이다. 지질 시대를 가리키며 해당 시기에 화산 폭발(3)과 또 다른 폭발(4)이 있었음 을 손으로 지속적으로 가리켰다. - 142 - 1 2 3 4 #153, (45´ 07˝ ∼ 45´ 13˝). 여3 : 이거 사진 여1 : 안돼! 지워지워지워. 남1 : 어(1) 야야 이거 어(2), 이 모델(3)로 하면....어...야야야(4) 남1 학생 앞자리에 앉은 여3 학생이 핸드폰으로 어떤 사진을 여1 학 생에게 보여주자 조별 모델 만들기에 참여하던 여1 학생이 덩달아 자리 를 박차고 일어난다. 모델링 활동이 급하게 중단되는 상황에서 남1 학생 이 보여주는 지시적 제스처이다. 여학생들이 다른 활동을 하자 남학생이 목소리를 조금 높여 개인 모델을 지속적으로 가리킴과 동시에 음성 언어 로 여1 학생을 부르는 움직임을 반복하였다(1,2,3,4). 그러자 여1 학생도 다시 자리로 돌아왔다. 1 2 3 4 #157, (1 06´ 49˝ ∼1 06´ 53˝). 여3 : 혹시 여기(1) 수심이 깊을까?(2) 그러니까 내 말은 여기(3) 옆이 - 143 - 넓으니까..얕아 보이나?(4) 중간 조별 모델을 만들 때 강의 수심에 대한 언급을 할 때 여3 학생 이 보여주는 지시적 제스처이다. 강의 형성과정에서 물이 어느 정도 있 는지 표현하기 위해 강의 깊이 물의 양에 관해 여3 학생이 자신의 의견 을 짧게 언급하였다. 여3 학생은 수심에 대해 언급하면서 중간 조별 모 델을 가리키는 지시적 제스처를 보였다(1,2,3,4). 1 2 3 4 #158, (1 06´ 59˝ ∼1 07´ 16˝). 여1 : 여기(1) 같은 경우는 베개용암(2)이 생긴 사례를 이야기 할 거 고 이쪽(3)은 조금 천천히 식은 것으로 해서 여기(4)는 베개용암이 존재 한다고 하고 여기는 비교적 조금 천천히 식은 것으로 해서 주상절리 만 들어주고. 여3 : 아아 중간 조별 모델을 그릴 때 여1 학생이 여3 학생의 의견을 이어 받아 서 자세히 설명할 때 보여주는 지시적 제스처이다. 이 지시적 제스처는 야외에서 관찰한 장소를 기준으로 야외 답사 장소를 각각 손으로 가리키 고(1,2) 동시에 그곳에서 관찰하였던 베개용암, 주상절리 등을 언급하며 위에서 아래로 방향으로 각각의 단계에서 그림을 그릴 위치를 가리킨다 (3,4). - 144 - 1 2 3 4 #162, (1 48´ 23˝ ∼ 1 48´ 44˝). 여3 : A가 선캄브리아 시대와 고생대에 퇴적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었 는데(1) 그 다음 B가 중생대 시대(2)에 이 퇴적암 위에 용암이 흐르게 됩니다(3). 그래서 베개용암과 현무암 등이 만들어지게 됩니다(4). B조의 최종 모델을 발표한 여3 학생이 보여준 지시적 제스처이다. 첫 번째 선캄브리아 시기부터 중생대 까지 발표를 해준 한 여학생의 제스처 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지질시대를 손으로 가리키며 발표를 하였고 용 암이 흐르는 상황과 이로 인해 베개용암과 현무암이 만들어진 부분을 지 속적으로 가리키는 지시적 제스처가 있었다. 나) 형상적 제스처 1 2 3 4 #163, (35´ 22˝ ∼ 35´ 32˝). 지도교사 : 개인 모델 작성이 끝났으면 한 사람씩 자기 꺼 발표 시작 - 145 - 해보자. 여3 : 저는 일단 바다가(1) 있으면 거기(2)에 용암이 흘러들었고(3) 좁 은 길을 만들어서(4) 강이 되었어요. 지도교사 : 바다가 강이 되었다는 건가? 여3 : 네 첫 번째 여3 학생이 자신의 개인 모델을 발표할 때 보여준 형상적 제 스처이다. 여3 학생은 왼손을 들고 양손을 펼치는 것으로 바다에 넓게 존재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다(1,2). 그런 다음 오른손을 뒤에서 앞으 로 뻗는 것으로 용암이 흘렀다(3)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마지막으로는 용 암이 흐른 특정 길을 양손으로 나타내었다(4). 이 학생의 개인 모델은 바 다에서 화산이 폭발하여 강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1 2 3 4 #164, (35´ 49˝ ∼ 35´ 56˝). 여1 : 근데 바다가 막힌 거라면 좀 더 염분농도가 높아야 하지 않아? 여3 : 옛날에 바다(1)였다가 막혀서 염분농도(2)가 차츰(3) 낮아졌다는 거지(4) 그러니까 내 생각은. 바다가 막혀서 생긴 것이라면 염분농도가 높아야 하지 않을까 라는 다른 조원의 의견에 대해 개인 모델을 발표한 여3 학생은 다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였다. 이때 오른손으로 바다가 존재(1,2)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오른손으로 원을 그렸다. 용암이 흘러서 바다를 막는 것 - 146 - 을 보여주기 위해 오른손은 위에서 아래로 내리며 왼손과 겹치도록 움직 였다(3,4). 이 형상적 제스처는 바다의 존재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용 암이 바다를 막아서 강이 형성되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1 2 3 4 #165, (36´ 01˝ ∼ 36´ 16˝). 남1 : 그 뭐지...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거... 여3 : 사암? 남1 : 아니아니...그.. 여3 : 염? 여1 : 염암?, 암염 여2 : 암염 여1 : 염암이래, 암염암염. 여3 : 암염, 아 그 암염이 있으려면(1) 이게 소금물(2)에서 이렇게 이 게 쌓여서(3) 되어야 하지 않나(4) 남1 학생이 바다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면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것, 암 염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을 때 여3 학생은 암염 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설명할 때 보이는 형상적 제스처이다. 이 형 상적 제스처는 여3 학생이 오른손으로 주먹을 쥐고 왼손에서 그 위를 누 르면서 하나의 큰 원처럼 보이게끔 나타내면서 소금이 쌓이는 것(2,3,4) 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 147 - 1 2 3 4 #166, (37´ 13˝ ∼ 37´ 16˝).
'뒤나미스무스의 연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석 표본과 퇴적암 전석 비교 및 대조, 분류 (0) | 2020.08.29 |
---|---|
지구 내부의 힘과 화강암 수직적 움직임 근원 (0) | 2020.08.29 |
LG 사이언스랜드 과학 UCC 공모전 과학 노래 (0) | 2020.08.29 |
관악산 야외지질답사 장소 및 사례 (0) | 2020.08.29 |
음성 언어 수반 제스처 사용 조 모델 발표 (0) | 202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