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그 다음에 물에 의한 침식과 같이 중생대 때까지 퇴적 된 것들이 깎여 나가고 또 여기 심성암 중에서 화강암이 밖으로 드러나 게 되고 또 이때 포획암도 생성되게 됩니다(4). 그래서 지금과 같은 관악 산의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중간 조별 모델 발표에서 A조 발표자 남1이 보여주는 제스처이다. 발 표자는 각각의 지질 시대와 대표적인 사건을 기준으로 4단계로 분류하여 발표하였고 이때 각각의 지질 시대를 손으로 가리키는 지시적 제스처를 보였다. 지질 시대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손으로 가리키는 지시적 제스 처를 발표 과정에서 꾸준히 보여주었다. 나) 형상적 제스처 1 2 3 4 - 77 - #15, (16´ 58˝ ∼ 17´ 02˝). 지도교사 : 개인 모델 작성 끝났으면 서로 의견 나누어보자. 남2 : 흠... 지도교사 : 남2는 어떻게 했어? 먼저 이야기 해볼래? 남2 : 일단 해저 화산 활동(1)에서 처음에 어떻게 생겼는지는 모르겠 지만 초기엔 뭐 이렇게 있었는데(2) 땅이 융기(3, 4)하면서 한반도가 만 들어졌고요. 남2 학생이 자신의 개인 모델을 설명할 때 처음 보여준 제스처이다. 해저 화산 활동(1)으로 만들어진 땅이 융기(3,4) 하면서 한반도 전체가 형성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 때 남2 학생은 초기 불특정한 상태 를 양손을 모았다가 펼치는 움직임(2)과 융기하는 과정에 대해 양손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다(3,4). 이 형상적 제스처는 관 악산 형성과정에 대한 개인 모델을 발표할 때 초기 상태를 양손을 모았 다가 펼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융기 과정을 시각화하여 보 여주었다. 1 2 3 4 #24, (39´ 12˝ ∼ 39´ 37˝). 남1 : 화강암이 심성암이었나? 남2 : 심성암....흠...심성암 어어어 맞는 거 같은데... - 78 - 남1 : 화강암이 심성암이고 결정크기가 큰 애가....결정크기가 큰 것이 심성암 화강암이고..(1) 지도교사 : 그럼 그 심성암, 그러니까 우리가 말하는 화강암은 어디서 생성된 것일까? 남1 : 심성암은 밑에서 생성된 거(2). 남2 : 그리고 무언가에 의해서 융기가 있어야지. 남1 : 어쨌든 그럼 화강암은 저 속에서 생성되고 위로 나와야지(3,4). 남1 학생이 조별 모델에서 심성암(화강암)의 생성기작에 대한 질의응 답 중에 보였던 제스처이다. 오른손은 지표보다 아래에서 생성됨을 보여 주는 움직임이다. 심성암이 밑에서 생성된 것에 대한 언급과 함께 두 손 을 모은 후 오른손은 아래로 내리고(1, 2) 화강암이 저 속에서 생성되었 다고 말함과 동시에 아래로 내린 손을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는 형태(3) 로 화강암이 지표 아래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두 손을 위로 올리는 것으로 융기하는 것도 함께 표현하였다.(4) 1 2 3 4 #26, (49´ 38˝ ∼ 49´ 54˝). 지도교사 : 조별 모델 어느 정도 만들어봤으면 조금 세부적인 질문도 한번 해볼까? 궁금한 게 있어서 남1 : 네 지도교사 : 아까 포획암에 대해서 이야기 하다가 다 안 끝냈던 것 같 아서 밝은 부분이랑 어두운 부분이 있었잖아. - 79 - 남1 : 네 지도교사 : 그러면 둘 중에 밝은 부분이 먼저 생겼거나 아니면 어두운 부분이 먼저 생겼거나 그것도 아니면 동시에 짠하고 생겼겠지. 어떻게 해서 포획암이 생겼을지? 남1 : 흠, 일단 먼저 밝은 부분(1)이 먼저 생겼다면 검은 부분이 관입 (2)이 되어서 속에 들어간 다음에 침식(3)을 받아서 표면에 드러나서 보 이는 것(4) 같아요. 지도교사는 각 조의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지켜보다가 A 조 학생들이 조별 모델을 어느 정도 만들었다고 판단하여 먼저 다가가여 학생들에게 추가적인 질문을 하나 하였는데 이 때 이에 대한 응답을 하 면서 남1 학생이 보여준 제스처이다. 지도교사는 포획암의 생성 기작에 대해 질문하였고 이에 대해 교사에게 남1 학생이 개별적으로 설명해 주 는 모습 중의 일부이다. 왼손을 일부 펼쳐서 처음 존재하고 있는 암석이 있었고(1) 오른손은 주먹을 쥐며 다른 암석과 접촉부가 생기는 지점(2) 을 표현함과 동시에 왼손이 오른손을 감싸는 형태를 보여줌으로서 포획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오른손은 원형을 그리며 회전하는 모 습으로서 접촉부 바깥면의 침식이 일어나는 것(3,4)이라고 설명하였다. 다) 묘사적 제스처 1 2 3 4 #27, (18´ 29˝ ∼ 18´ 35˝). - 80 - 남2 : 한 광물 입자가 상류 보다 훨씬 높은 정상부근에서 계곡(1)을 따라서 퇴적(2)되었을 텐데 무게에 따라서 퇴적되는 위치가 다를 것이라 고 생각해서 무거운 것은 비교적 위에 쌓이고(3) 가벼운 것은 멀리까지 내려가면서 퇴적(4)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광물 입자를 관찰한 부분에 대한 설명과정에서 보여주는 제스처이다. 광물 입자는 산 정상 혹은 산 위에서부터 침식되면서 계곡(1)을 따라 퇴 적되면서 내려왔을 것(2,3,4)이라고 추측하면서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양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끊으며 무게에 따라 퇴적되는 위치가 차이 가 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가벼운 입자는 멀리까지 내려간다는 상황 을 언급하며 왼손을 멀리까지 뻗고 있다(4). 이 과정에서 보여주는 묘사 적 제스처는 광물의 입자의 무게에 따라 퇴적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라) 지시적 제스처와 형상적 제스처 1 2 3 4 #29, (36´ 16˝ ∼ 36´ 38˝). 남2 : 변성암이 이렇게 있었고...(1) 남1 : 초기에는 변성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는 거로 하면 될 것 같애. 남2 : 처음에는 넓은 평지에 변성암이 있고 (2) 남1 : 그래그래, 아무튼... 남2 : 지금은 이렇게 위로 올라왔는데 이 쪽 부분이 이렇게 깎이면서 결국에는 화강암이 드러나고 (3,4) - 81 - 남1 : 그러면 옆에는 변성암이 있고 가운데는 화강암이 이렇게 드러나 는 것으로 하면 되겠네(4). 조별 모델의 일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학생들의 제스처 이다. 남2는 초기 조건을 변성암이 존재한다고 언급하면서 평평한 면을 손을 좌우로 움직이며 그린다(1,2).
'뒤나미스무스의 연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과 인솔교사의 콘크리트 직접 지시적 제스처 (0) | 2020.08.29 |
---|---|
편마암 화강암 침식 융기 작용 (0) | 2020.08.29 |
암석 종류 구분 형상적 묘사적 지시적 제스처 (0) | 2020.08.28 |
과학교육 분야 제스처 분류 체계와 공간적 규모 불명확성 (0) | 2020.08.28 |
관악산 및 한탄강 형성과정 다면적 과학적 모델 (0)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