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입체투영 이외에 장미 도표(rosediagram)또한 전체적인 방향성을 쉽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이는 입체투영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자료 표현 방식이므로 현장 조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현장에서의 입체투영은 통상 대원 및 소원이 미리 -12- 작도된 입체투영망(stereonet)을 사용하지만(Wyllie and Mah, 2004)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도의 결과물이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작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투영도는 불연속면과 경사면의 방향성 및 각도에 따른 안정성의 분석을 수행하는 불연속면 분석(discontinuityanalysis)에 사용 가능하다.이 분석은 암질 사면에서의 특정한 절리면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존재하는 불안정성을 분석하고 이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현장 분석 기법으로서(Admassu andShakoor,2013)절리 측정 자료와 마찰각,사면의 경사각 및 경사 방향을 이용하여 사면상의 불안정 절리 및 잠재적 파괴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통상적으로 분석 대상이 되는 파괴 유형은 평면 파괴,쐐기 파괴 및 전도 파괴로서(Hoek and Bray, 1981) 이러한 파괴 유형에 대한 위험 절리군은 Markland(1972)와 Hocking(1976)의 시험에 의해 Fig.2.1과 같이 정형화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각 파괴 유형들은 불연속면의 경사각이나 한 쌍의 불연속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선구조의 침강각 및 이러한 구조들의 방향성에 따라 발생 확률이 달라지며,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취득한 자료를 즉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가시화할 수 있다. -13- Fig. 2.1. Failure modes caused by discontinuities and their representations ofstereonets(envelope).(a)Plain failure,(b)Wedge failure,(c)Topplingfailure(afterHoekandBray,1981). -14- 2.1.2.시추주상도 내 지하 지질정보 요소 분석 시추주상도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그 규격이 결정되며, 각 규격에 포함되는 인자의 종류도 용도별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시추주상도는 대부분 출력물에 최적화된 정형화된 형식이나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시추주상도 자료를 모바일 기기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추주상도 구성요소를 분류 및 선정하여 표준화 및 최적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이러한 시추공 요소 분석 및 분류 연구는 기존에 수행된 바 있으므로(과학기술부,2001),이러한 기존 사례를 참고하되 전반적인 지질 조사 및 모바일 시스템으로의 적용을 위하여 최근 디지털 형식으로 사용되는 시추주상도 양식과 웹 데이터베이스 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개별 인자들을 공통요소에 따라 분류 또는 개발할 필요가 있다. 먼저 국내에서 각 기관 및 회사에서 운용 중인 15개의 시추주상도 또는 데이터베이스 형식을 수집하여 각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대다수의 구성 요소는 개별 시추공 정보에 포함되나,일반적으로 개별 조사에서는 다수의 시추를 수행하므로 시추공별로 중복되는 요소의 경우 대단위 사업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또한 개별 시추공 정보에 속하는 요소의 경우 각 시추공의 일반 정보와 지층 또는 깊이에 따른 정보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이러한 분류 내용을 Table2.1에 정리하였다. -15- Table2.1.Listofclassifiedboreholedataelements. 영 역 항 목 사업정보 사업명(조사명),사업코드,발주처,주소,언어,문자셋,연락정보,책임자명,책임기관명, 책임자직위명,국가코드,우편번호,전자우편주소,온라인자원 위치,획득방법,기준계식별자, 기준계명칭,타원체,좌표계,원점,지리경계,지리영역,시간범위,수직범위 시 추 공 정 보 일반 정보 공통 구조물명(광산명),행정구역,시추공번,계획심도,준공심도(굴진심도),위치, 채취방법기호,시공기간,시추자,조사일자(기간),코어 조사자,지하수위,시추방법, 시추공경,시추장비,표고,기준점,기준점표고 암반 시추방향,시추각도 토질 케이싱심도 심도 정보 일반 상위/하위 심도,지층명,표고,지층 두께,케이싱,주상도,색,시료번호,채취방법, 채취심도,누수상태,투수계수,샘플 번호,채취방법,채취심도,표준관입시험(SPT), 코어회수율(TCR),통일분류(USCS),RQD(RockQualityDesignation), 원위치 시험,설명 암반 암석명,암종,위폭,진폭,균열형상,암반등급,암질상태,절리간격,풍화정도,강도, 굴진속도,암석구조기재,수압시험결과,굴진상황,굴진속도,누수상태,배수량 -16- Table 2.1의 항목은 기존의 시추주상도와 데이터베이스 구성 항목 등을 대부분 포함한 것으로서,일반적인 온라인 서비스를 위해 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모두 탑재하여 사용할 경우 일반 모바일 기기의 용량을 쉽게 초과하게 된다.이 경우 데스크톱 컴퓨터에 비해 비교적 느린 모바일 기기의 처리속도로 인하여 단순한 작업에도 높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자료의 기본적 구조를 유지하면서 필수적인 인자를 우선 탑재하되 필요에 따라 항목을 선택적으로 추가 탑재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항목 분류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Fig.2.2에 도식화하였다.
'뒤나미스무스의 연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장 공간 지질 구조 측정 자료 (0) | 2020.08.15 |
---|---|
기기 위치 감지 칩셋 (0) | 2020.08.15 |
시추 사업 좌표체계 (0) | 2020.08.15 |
지상 및 지하 현장 지질 조사 (0) | 2020.08.15 |
소프트웨어 측정 및 기록 (0) | 202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