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사회 기호학적 다면적 분석(Social semiotic multimodal analysis), 다면적 담화 분석(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다면적 상호작용 분석 (Multimodal interactional analysis, MIA)이다. 그 중에서도 이 연구에서 는 전체론적인 관점을 지니며 의미론적(semantics) 접근과 화용론적 - 45 - (pragmatic) 접근으로서 의미가 형성되어질 수 있는 다면적 상호작용 분 석을 활용한다(Norris, 2004, 2011). 의미론적인 접근은 우리가 통상적으 로 의사 전달을 위한 일반적인 의미로서 해석되는 반면, 화용론적 접근 은 우리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특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의미론적인 접근은 또한 다수의 순차적이며 동시에 구조화된 의사소통 과정에서 대화와 관련성이 있고, 화용론적 접근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작은 활동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 할 수 있다. 지시하는 것과 같은 낮은 활동의 구조는 참여자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는 큰 활동 구조와 관계가 있다. 작은 활동이 체인처 럼 엮여서 하나의 큰 활동을 이루는 것처럼 의미론적인 접근과 화용론적 인 접근이 함께 엮여서 전체론적인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즉, 다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세 가지 단계를 따른다 (Norris, 2013). 첫 번째 작은 활동을 탐색이다. 작은 활동은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작은 단위로서 발음, 제스처 단위, 자세 변경 등과 같이 화용 론적 의미로의 접근이다. 두 번째 큰 활동 탐색이다. 큰 활동은 작은 활 동이 모여서 하나의 큰 활동을 만드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큰 활동 은 대화, 몸짓, 자세 변화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세 번째 정지된 활동 이다. 정지된 활동은 작은 활동과 큰 활동을 만드는 사람 요소 이외의 환경적인 부분에 수반될 수 있는 그 자체를 의미한다. 다면적 상호작용 의 분석은 기본 단위에서부터 시작한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제스처, 음성 언어, 학습 환경, 근접성 등과 같이 특정 양식에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Norris(2004)가 다면 적 상호작용의 양상으로 제시하였던 근접성(proxemics), 자세(posture), 머리 움직임(head movement), 몸짓(gesture), 응시(gaze), 음성 언어 (spoken language), 레이아웃(layout), 프린트(print), 음악(music) 등의 요소에서 야외지질학습과 교실 환경에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에 학생 들이 참여할 때 이와 관련된 요소를 분류하여 학습 환경을 고려하였다. 두 번째 다면적 상호작용의 양식(mode)은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하게 있 - 46 - 을 수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다면적 상호작용의 양식에 국한된 것이 아 니라 다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접근하여 학생 들의 제스처를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즉, 학생들의 제스처를 질적으 로 탐색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적 접근으로서 다면적 상호작용을 착안하 여 사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의 제스처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 기 위한 것으로 Norris(2004)의 다면적 상호작용을 탐색하였고, 이 연구 에서는 다면적 상호작용의 많은 양식에 집중하기보다 제스처를 질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접근으로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연구자의 관점에서 질적 으로 해석하기 위해 학생들의 제스처를 학생들의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특정 맥락 속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떤 상황과 맥락 속에서 제스처를 보이는지 이해하기 위한 접근으로서 다면적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과정에서 전체론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 을 질적으로 탐색한다. - 47 -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및 연구 참여자 가. 연구 절차 그림 1. 연구 절차 이 연구의 연구 절차는 그림 1과 같다. 첫 번째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국내와 국외 선행연구,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에 관한 연구, 제스처에 대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에 관한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Orion(1993)의 가상의 공간(Novelty space)을 고려 하여 야외 답사 장소를 선정하였다. 즉, 영재교육원에서 지리적으로 가깝 고, 연구 참여자들이 영재교육에 참여하기 위해 매주 관악구에 방문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친숙한 곳, 교육과정의 암석과 광물 단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야외에서 관찰 가능한 장소를 탐색하여 관악산을 첫 번째 야외 답사 장소로 선정하였다. 또한 K-12 학생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많은 일반 대중들이 활용 가능한 장소로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을 두 번째 답사 장소로 선정하였다.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은 2015년 12월 31일 국가지질 - 48 - 공원 인증고시(환경부고시 제 2015-63호)를 받았다. 한탄강 국가지질공 원은 베개용암, 주상절리, 부정합, 단층,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등 다양 한 지질학적 구조와 다양한 암석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관악산과 한탄강 인근 야외 답사 장소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을 개발하였다.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 수업에 대한 개요, 야외 답사 장소에 대한 안 내, 지질도, 야외 관찰 기록, 개인 모델 작성 등을 할 수 있는 활동지를 준비하였다. 대학 기관 내 연구윤리위원회(1803/003-003)에서 연구 승인 을 받는 것으로 연구가 진행되기 전 모든 준비를 마쳤다. 영재교육원 학 기가 시작되고 약 한 달(4월)간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이후 학생들은 관악산 형성과정을 주제 로 야외지질답사와 모델 및 모델링 과정에 참여하였고 다음 차시 수업에 서 한탄강 형성과정을 주제로 하여 한탄강 야외지질답사와 모델 및 모델 링을 실시하였다.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비언어적 측면에서 제스처에 대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뒤나미스무스의 연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산 화강암과 심성암 생성과정 매커니즘 (0) | 2020.08.28 |
---|---|
야외지질답사와 과학적 모델과 초임교사 (0) | 2020.08.28 |
의사소통 수단, 다면적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 (0) | 2020.08.28 |
담화 연구에서의 다면성과 다양한 기호 양식 (0) | 2020.08.28 |
인지 과학, 제스처의 움직임과 역할 문헌 분석 (0)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