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연구에서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제스처를 탐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인지과학에서 제스처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진행되고 있으며(Beer, 2000; Goodwin, 1999; Wilson, 2002) 넓은 의미에 서 볼 때 제스처는 지각-운동적(sensorimotor) 시스템(system)으로부터 인지 과정이 발생한다는 것을 말한다(Chiel and beer, 1997; Lakeoff and Johnson, 1999). 신경생물학과 신경심리학적 연구에서는 축적된 증거로 인지 과정의 발생에 관해 유사한 결론을 도출한다(Gallese, 2003; Gallese 2006; Gallese and Lakeoff, 2005). 또한 최근 신경과학의 분야에서 자기 공명영상 등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신경촬영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 의 지각에 대한 활성영역을 증거로 사용하기도 한다(Hauk et al., 2004; Matin, 2007). 이러한 결과는 정신 활동과 신체 움직임 사이의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신체 움직임에 관한 중요성을 보여주는 연구이기도 한다. 신체 움직임, 즉 제스처에 대한 연구에서 제스처를 통 해 지식 혹은 학생들의 의미 있는 표현을 드러내기도 한다(Alibali, 2005; Goldwin-Meadow et al., 2001; Goodwin, 2007; Roth 2001). 게다가 교육 적인 목적을 가진 연구에서는 제스처가 서술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Roth, 2001). 과학교육에서 제스처의 사용은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과 관련하여 용어를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기도 한다(Alibali, 2005; Roth and Lawless, 2002a). 지질 교육(Geoscience education)연구 에서 제스처와 관련한 연구는 지질학적 추론의 맥락에서 해석할 때 보여 지는 제스처의 의미와 관련된 것이다(Alles and Riggs, 2011; Kastens et al., 2008). 제스처는 교실과 답사 환경에서 학생들에 의해 지질학적 개념 에 관한 추론의 과정에서 관찰 가능하다(Liben et al., 2010).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학 생들의 제스처를 탐색하기 위해 인지과학, 인지심리학, 인지언어학 등에 서 활용되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한다. - 32 - 4. 제스처(Gesture) 이 연구는 지구과학 교과 교육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제스처에 대해 탐색하고 이에 관한 교육적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스처에 대한 연구는 인지발달, 발달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에 서 시작되어 최근에는 지질학과 같이 교과 교육에서 제스처에 대한 교육 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Kastens, 2008). 이 연구는 야외지질학습이라고 하는 특정 학습 환경과 교과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제스처에 대한 연구로서 과학적 모델 및 모델링이라고 하는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제스처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 하고자 한다. 현재 미국 Spatial Intelligence Learning Center(Carleton University)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에서 제스처와 관련된 연구가 있 다. 이 연구와 유사한 주제로 진행 중 SILC 프로젝트 중 제스처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관점을 함께 다루고자 한다. 제스처는 비언어적 활동에 하나로서 상황을 이해하는 정보를 풍부하 게 제공한다(Matsumoto and Hwang, 2013). 제스처는 체화된 인지 이론 을 바탕으로 하고 어떤 종류의 생각이나 사고 과정을 표현하는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Kinsbourne, 2006). 제스처는 글이나 음성 언어의 커 뮤티케이션 시스템을 더욱 풍부하고 효과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Capirci and Volterra, 2008) 상호작용에 도움을 주며 기억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 움이 된다(Chartrand and Bargh, 1999). 제스처는 발화(speech)와 함께 자연스러운 손의 움직임을 동반하고 사람들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정신적인 표상의 형태로서 드러낼 수 있다(Goldin-Meadow, 2003). 제스처는 발화와 함께 동시에 나타나는 제스처와 발화와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제스처로 분류할 수 있다 (Matsumoto et al., 2013). 그 중에서도 제스처와 발화가 동시에 나타날 때 제스처는 특정 주제에 대한 발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 33 - 공간적 설명이 필요한 상황의 발화에서 제스처의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Alibali et al., 2001). 또 다른 예시로서 발화자가 제스처를 동반 하며 의사소통을 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청자가 더 쉽게 화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Alibali et al., 1997; Goldin-Meadow and Sanhofer, 1999; Goldin-Meadow et al., 1992).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제 스처가 수반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스처가 수반된 경우에 학업 과제 (task)을 더 쉽게 배울 수 있다(Ping and Goldin-Meadow, 2008; Singer and Goldin-Meadow, 2005).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Nathan(2015)은 제스 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을 때 학생들이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사례 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제스처는 단순히 움직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에 있어서 의사소통의 도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 습에서 유의미한 도움을 줄 수 있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 여 인지 과학에서는 말로 표현하는 것과 더불어 제스처가 인지적인 부담 을 덜어주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한다(Ping and Goldin-Meadow, 2010). 지질학에서는 많은 지질학적인 현상들로서 고기후, 기후변화, 판구조 론, 지질 구조, 해수면 변화 등을 해석할 때 퇴적, 침식 현상 등을 다룰 수 있다. 제스처는 상호 개인과의 과학적 담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공간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시각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Roth, 2000). 지질학자들은 제스처를 사용하여 노두의 위치와 방향을 정 확히 파악할 수 있고 퇴적 과정, 지각의 융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각의 현상을 모방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Liben et al., 2010). 인지 과학 분야 에서 일부 지질학적 추론, 공간적 사고와 제스처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연구가 있다. Herrera and Riggs(2013)는 학생들의 퇴적 현상에 대한 개 념 분석 과정에서 제스처와 발화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였고, Liben et al., (2010)은 지층의 층서의 3차원 방향성과 제스처 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댓글